사람들이 잘 모르는 부동산 취득 시에 드는 기타 비용으로 인지세가 있다.
인지세에 대해 알아보자.
1. 정의
- 인지세는 재산의 권리 변동 및 승인에 대한 증서 발행 시 부과되는 세금이다.
* 출처 : 인지세법 (law.go.kr)
→ 재산에 관한 권리 등의 창설ㆍ이전 또는 변경에 관한 계약서나 이를 증명하는 그 밖의 문서를 작성하는 자가
작성의무가 있다.
인지세법
law.go.kr
2. 인지세 금액
- 부동산 취득 금액에 따라 세액이 결정된다
대상 금액 | 세액 |
1,000만원~3,000만원 | 2만원 |
3,000만원~5,000만원 | 4만원 |
5,000만원~10,000만원 | 7만원 |
1억원~10억원 | 15만원 |
10억 이상 | 35만원 |
3. 인지세 납부 방법
- 기한 : 계약서 작성일
- 인터넷 납부 방법
ⓐ 사이트 접속 : 전자수입인지 (e-revenuestamp.or.kr)
전자수입인지
www.e-revenuestamp.or.kr
ⓑ 수입인지 구매 클릭
ⓒ 로그인 - 회원가입 or 비회원
ⓓ 금액/항목 기입
ⓔ 납부정보-결제수단 결정 후 결제
5월 4주차 주요 부동산 뉴스 모음 (1) | 2023.05.25 |
---|---|
부린이 첫집 사기 - 집값 외에 추가비용 ③ 부동산 중개수수료 (2) | 2023.05.11 |
부린이 첫집- 대출 받기 : 특례보금자리론VS 디딤돌 대출 (1) | 2023.05.03 |
부린이 첫집 사기 - 집값 외에 추가 비용 ① 취득세 (0) | 2023.05.01 |
부린이 첫집 사기 - 집값 외에 추가 비용이 있다구요? (0) | 2023.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