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석유산업의 Value Chain은 상류부문-중류부문-하류부문으로 구성됨
2. 상류부문은 원유의 개발탐사 및 생산, 중류부문은 원유 수송 및 가공 정제, 하류부문은 소비자에게 주유소등을 통해 판매하는 것을 의미
3. 국내 정유사는 대부분 중류 및 하류부문을 담당하며, 정제시설은 석유산업의 중류부문의 정제 관련 설비임.
4. 석유정제는 크게 단순 정제와 고도화 정제로 구분
5. ① 상압증류시설(CDU, Crude Distillation Unit)은 원유를 340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끓는점 차이를 이용해 각종 반제품(프로판, LPG, 나프타, 등유, 경유) 및 벙커 C유 (상압잔사유*)를 증류분리하는 설비임
* 상압잔사유 : Atmospheric Residue, AR로 표기
6. 원유에서 탄소개수가 많아질수록 끓는 점이 높고, 연소가 잘 되지 않아 저품질 제품으로 분류
7. 따라서 LPG, 휘발유, Naptha, 등유 경유 순서로 추출되며 LPG 휘발유 Naptha는 경질유, 등유 경유는 중질유로 분류
8. 석유는 API 에따라 경질유/중질유/중질유로 분류되는데, API가 높을수록 가벼운 제품임
9. ① 상압증류시설(CDU, Crude Distillation Unit) 을 거쳐 분리된 반제품들은 다시 수소 등의 화학물질을 투입하여 내부 이물질( Sulfur 황, Nitrogen 질소 등)을 제거하여 최종 석유제품이 생산됨
10. ① 상압증류시설(CDU, Crude Distillation Unit)는 단순정제로 분류되며, 통상 단순정제 마진은 $1/bbl* 이하임
* bbl 배럴은 원유의 부피 측정 단위로 1bbl = 159L 의미
11. ① 상압증류시설(CDU, Crude Distillation Unit) 을 거친 원유중 약 30~50%는 벙커 C유(상압잔사유)로 나오는데, 이는 중질유(API 30도 이하)로 분류
12. 벙커C유는 유황성분이 많고 효율이 낮아 경제성이 낮음
13. 고도화 정제란 단순정제에서 발생한 경제성이 낮은 벙커C유를 원료로 분해, 탈황 등의 공정을 통해 고부가 제품인 휘발유, 경유, 등유 등을 생산하는 것을 의미
14. ② 감압증류시설(Vacuum Distillation Unit)에서 벙커C유는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에 가까운 압력 하에 다시 감압잔사유와 감압경유로 분류
15. 분류된 감압경유와 감압 잔사유는 각각 ⓐ수소를 첨가하여 탄소고리를 끊는 방식(HYC)과 ⓑ 연속으로 재생되는 촉매를 활용해 탈황처리된 잔사유를 분해하는 방식(RFCC) 으로 고부가 제품으로 재생산됨
16. 국내 정유사들은 단순정제(1차정제) 및 고도화 정제(2차 정제)를 거쳐 고부가 제품 생산을 통해 제품 매출을 극대화하고 있는 중임
요약. 국내 정유사들은 고부가 석유제품 생산을 위한 고도화시설을 구축하였음. 최근 저유가 기조로 인해 높은 정제마진을 확보하기에 고도화 시설만으로는 역부족인 상황임. 추가적인 정제시설 고도화나 저가 원유 도입 외에도 신사업분야 발굴등으로 추가적인 마진 확보가 필요.
한국은행이 돈을 푸는데 왜 나한테는 오지 않는가(feat. 빈익빈 부익부) (0) | 2025.01.20 |
---|---|
국내 전기요금의 구조 (0) | 2025.01.14 |
트럼프와 바이든의 유가 줄다리기 (1) | 2025.01.07 |